레노버 노트북 윈도우 설치 및 업그레이드

반응형

레노버 아이디어패드 3 15IAU7 윈도우 설치 및 램 업그레이드

노트북 성능이 살짝 아쉬울 때, 가장 효과적인 업그레이드 방법은 램(RAM) 확장입니다. 오늘은 레노버 아이디어패드 3 15IAU7 모델의 윈도우 설치와 함께 램을 16GB로 업그레이드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겠습니다.
 

1. 준비물

윈도우 설치를 위한 준비물 USB 설치 디스크 (8GB 이상, 윈도우 설치 미디어 생성 도구 이용) 윈도우 10 또는 11 정품 라이선스 키 (필요 시) 램 업그레이드를 위한 준비물 호환되는 RAM: 이 모델에는 DDR4 3200MHz (PC4-25600) SODIMM 메모리가 필요합니다.
 
추천 제품:
삼성 DDR4 16GB 3200MHz SODIMM
크루셜(Crucial) DDR4 16GB 3200MHz SODIMM
킹스톤(Kingston) DDR4 16GB 3200MHz SODIMM
- 드라이버(레노버 노트북 뒷면 나사는 십자가 아니여서, 다각형, 별모양 등 다양한 드라이버 팁이 있는 공구가 필요합니다)
- 노트북 후면 커버 분해용 정전기 방지를 위한 장갑 또는 접지 패드
 

2. 윈도우 설치 과정

1) 윈도우 설치 USB 만들기 마이크로소프트 공식 사이트에서 윈도우 설치 미디어 생성 도구를 다운로드합니다.

USB를 연결한 후, 도구를 실행하여 "다른 PC용 설치 미디어 만들기"를 선택합니다.
언어, 버전(Windows 10 또는 11), 아키텍처(64비트)를 선택한 후, USB 드라이브를 지정합니다.
완료되면 USB가 윈도우 설치 디스크로 변환됩니다.
 
2) 윈도우 설치(프리 도스 노트북)
USB를 노트북에 연결한 후, 전원을 켜고 **F2 또는 Novo 버튼(전원 버튼 옆 작은 구멍)**을 눌러 BIOS에 진입합니다.

Boot 메뉴에서 USB를 최우선 부팅 장치로 설정합니다.
저장 후 재부팅하면 윈도우 설치 화면이 나타납니다.
화면 지시에 따라 디스크 파티션 설정 및 설치 진행 설치 후, 드라이버 및 필수 프로그램 설치 (레노버 공식 사이트에서 최신 드라이버 다운로드 권장)

window 10, 11 모두 설치 진행 가능하나, 프리도스에 설치할 경우, WIFI를 잡을 수 있는 드라이버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서,  window 10의 경우, 비행기모드로 설치되거나, 11의 경우 아예 WIFI를 잡으라는 문구가 뜨며, 더 이상 설치할 없는 상황에 직면하게 됩니다.
 
제가 푼 해결책 : 
1) window 10의 경우 비행기모드로 설치된 노트북에, 다른 컴퓨터를 사용하여 레노버 다운로드 센터에서 해당 모델의 wifi  드라이버를 다운로드 한 후, USB에 담아서 옮겨서 설치해 주면, wifi가 활성화 됩니다. 

2) 위 모델의 노트북의 경우, 랜선을 넣을 수 있는 곳이 없기 때문에 휴대폰을 C포트에 유선으로 연결한 후, 데이터를 연동하여, wifi 설치가능합니다.

3) wife 활성화를 통해, 인터넷이 해결되면, 레노버 다운로드 센터에서 자동으로 하드웨어에 필요한 드라이버를 잡아주는 앱을 깔아줍니다.

4) 노트북이 최상의 상태로 자동 업데이트됩니다.
 

3. 램 업그레이드 과정

1) 노트북 분해
노트북을 완전히 종료한 후, 전원 어댑터와 모든 외부 장치를 제거합니다.
노트북을 뒤집고 하단의 모든 나사를 풉니다.

얇은 플라스틱 헤라나 카드(저는 바람 환풍구 윗쪽을 공략했습니다) 등을 이용해 커버를 천천히 분리합니다.

 
2) 기존 램 확인 및 추가 램 슬롯을 찾으면, 기본적으로 8GB 램 1개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램소켓이 어디에 달려있는 줄 모름 : 검은색 뚜껑을 위로 들어올려주면, 끝)

빈 슬롯에 새로운 8GB 또는 16GB 램을 장착합니다.(램이 기존램 외 추가로 16GB 램 장착 가능한지, 확인 필요)
램을 슬롯에 맞춰 수평으로 삽입한 후, 딸깍 소리가 날 때까지 눌러 고정합니다.

3) 조립 및 확인
노트북 후면 커버를 다시 덮고, 나사를 조여 고정합니다.
(나사를 조이기 전에 노트북이 잘 작동이 되나 전원을 넣어 먼저 확인합니다)

- 저는 검정 색 화면이 떠서 램을 잘못 샀나, 쿠팡에 문의 함. 쿠팡 할인가 16,000원,  DDR4 3200MHz (PC4-25600) SODIMM 메모리를 장착했으나, 검정 화면?!
 
그래서, 바이오스에 진입해 보았습니다. 다른 것 만진 것 없고, 바이오스 화면이 켜진 이후에, 변화사항 저장후 나옴.)
전원을 켜고 BIOS (F2 진입)에서 램 용량을 확인합니다.
 
* 성공 : 빠른 부팅 후, 윈도우 정상 작동되었습니다.
 
윈도우에 로그인 후, 작업 관리자 (Ctrl + Shift + Esc) → 성능 → 메모리에서 16GB로 정상 인식되는지 확인합니다.
 

4. 마무리 및 성능 테스트

램 업그레이드가 완료되었다면, 간단한 테스트를 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메모리 인식 여부 확인: 작업 관리자에서 확인 벤치마크 테스트: AIDA64, CPU-Z 등을 활용 실제 사용 테스트: 여러 프로그램을 실행하며 성능 체감 이제 업그레이드된 16GB RAM과 새롭게 설치한 윈도우로 더욱 쾌적한 노트북 환경을 즐겨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