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내 협업을 위한 최고의 NAS 시스템 구축 가이드
작성일: 2025년 4월 3일 | 최종 업데이트: 2025년 4월 3일
NAS란 무엇인가? 왜 필요한가?
NAS(Network Attached Storage)는 네트워크에 직접 연결되는 데이터 저장 장치로,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파일에 접근하고 공유할 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입니다. 특히 사내 환경에서는 팀원들 간의 효율적인 파일 공유와 협업, 중앙화된 백업 관리를 위해 필수적인 인프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직접 서버를 구축하는 것보다 NAS는 비용 효율적이면서도 설치와 관리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가성비와 안정성을 모두 갖춘 NAS 제품을 소개하고, 내부망과 외부망에서 접속하는 방법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가성비 좋은 NAS 제품 추천
회사 규모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한 NAS가 다릅니다. 소규모 팀부터 중견기업까지 활용할 수 있는 가성비 좋은 제품들을 소개합니다.
1. Synology DS220+
가격대: 40~50만원대 (디스크 미포함)
특징: 2베이 NAS 중 최고 인기 제품으로, 소규모 팀에 적합합니다. Intel Celeron J4025 CPU와 2GB RAM(최대 6GB 확장 가능)을 탑재하여 기본적인 파일 공유와 간단한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충분한 성능을 제공합니다.
장점
- 안정적인 DSM 운영체제
-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 전력 소비가 적음 (약 14.69W)
- 다양한 앱 지원
단점
- RAM 업그레이드가 제한적
- 베이 확장 불가
2. QNAP TS-453D
가격대: 80~90만원대 (디스크 미포함)
특징: 4베이 NAS로 중소규모 기업에 적합합니다. Intel Celeron J4125 CPU와 4GB RAM(최대 8GB)을 탑재하였으며, 2.5GbE 네트워크 포트를 제공하여 더 빠른 네트워크 속도를 지원합니다.
장점
- 4개의 드라이브 베이로 확장성 좋음
- HDMI 출력 포트 지원
- 2.5GbE 네트워크 포트 제공
- 가상화 기능 지원
단점
- 전력 소비가 다소 높음
- 가격대가 높은 편
3. TerraMaster F4-422
가격대: 60~70만원대 (디스크 미포함)
특징: 가성비 높은 4베이 NAS로, Intel Celeron J3455 쿼드코어 CPU와 4GB RAM(최대 8GB)을 탑재하였습니다. 2개의 1GbE 포트와 1개의 10GbE 포트를 제공하여 네트워크 확장성이 좋습니다.
장점
- 합리적인 가격대
- 10GbE 네트워크 포트 내장
- 알루미늄 케이스로 열 발산 우수
단점
- OS가 Synology나 QNAP에 비해 다소 부족
- 앱 생태계가 약함
안정성이 뛰어난 NAS 제품 추천
중요한 업무 데이터를 다루는 환경에서는 안정성이 최우선입니다.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한 고급형 NAS 제품들을 소개합니다.
1. Synology DS1621+
가격대: 120~130만원대 (디스크 미포함)
특징: 6베이 고성능 NAS로, AMD Ryzen V1500B 쿼드코어 CPU와 4GB ECC RAM(최대 32GB)을 탑재한 중견 기업용 모델입니다. 안정적인 성능과 확장성이 뛰어납니다.
장점
- ECC 메모리로 데이터 무결성 보장
- 확장 유닛 연결로 최대 16개 드라이브 지원
- PCIe 슬롯을 통한 10GbE 카드나 SSD 캐시 카드 설치 가능
- 안정적인 DSM 운영체제
단점
- 가격이 높음
- 기본 네트워크 포트가 1GbE (업그레이드 필요)
2. QNAP TS-h886
가격대: 180~200만원대 (디스크 미포함)
특징: 8베이 하이엔드 NAS로, Intel Xeon D-1622 쿼드코어 CPU와 16GB DDR4 ECC RAM(최대 128GB)을 탑재하였습니다. ZFS 기반 QuTS hero 운영체제를 사용하여 데이터 무결성과 스냅샷 기능이 뛰어납니다.
장점
- ZFS 파일 시스템 지원
- 2개의 10GbE 포트 내장
- SSD 캐싱을 위한 베이 별도 제공
- 하드웨어 성능이 매우 우수
단점
- 매우 고가
- 전력 소비가 많음
3. Synology SA3600
가격대: 250~300만원대 (디스크 미포함)
특징: 12베이 랙마운트형 엔터프라이즈급 NAS로, Intel Xeon D-1567 12코어 CPU와 16GB ECC RAM(최대 128GB)을 탑재하였습니다. 대규모 기업 환경에서 안정적인 성능을 제공합니다.
장점
- 엔터프라이즈급 안정성
- 최대 확장시 180개 드라이브 지원
- 4개의 1GbE와 2개의 10GbE 포트 내장
- Synology의 고급 기능 모두 지원
단점
- 초고가 (중소기업에 비현실적)
- 랙마운트 서버실 필요
NAS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설정 방법
NAS를 구매한 후에는 사내 네트워크에 연결하고 직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설정해야 합니다. 아래 단계별로 설정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NAS 하드웨어 설치
- NAS 기기에 하드 디스크를 장착합니다.
- 전원 케이블을 연결합니다.
- 이더넷 케이블을 사용하여 NAS를 사내 네트워크 스위치 또는 라우터에 연결합니다.
- NAS 전원을 켜고 부팅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립니다.
2. NAS 초기 설정
- 대부분의 NAS 제조사는 웹 기반 설치 도구를 제공합니다 (Synology는 'Synology Assistant', QNAP은 'QFinder Pro').
- 해당 도구를 사용하여 네트워크에서 NAS를 검색합니다.
- NAS의 웹 관리 인터페이스에 접속하여 초기 설정을 진행합니다:
- 관리자 계정 설정
- 네트워크 설정 (고정 IP 권장)
- RAID 구성 (데이터 안정성을 위해 RAID 1, 5, 6 등 권장)
- 공유 폴더 생성
3. 윈도우에서 NAS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 파일 탐색기를 엽니다.
- 상단 메뉴에서 '컴퓨터' >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을 클릭합니다.
- 드라이브 문자를 선택합니다 (예: Z:).
- 폴더 경로 입력란에 NAS의 경로를 입력합니다:
- Synology:
\\NAS-IP-주소\공유폴더명
- QNAP:
\\NAS-IP-주소\공유폴더명
- Synology:
- '로그인할 때 다시 연결' 옵션을 체크합니다.
- '다른 자격 증명을 사용하여 연결' 옵션을 선택하고 NAS 계정 정보를 입력합니다.
- '마침'을 클릭하여 연결을 완료합니다.
4. macOS에서 NAS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 Finder를 엽니다.
- 상단 메뉴에서 '이동' > '서버에 연결'을 클릭합니다.
- 서버 주소 입력란에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 SMB 프로토콜:
smb://NAS-IP-주소/공유폴더명
- AFP 프로토콜:
afp://NAS-IP-주소/공유폴더명
- SMB 프로토콜:
- '연결' 버튼을 클릭합니다.
- NAS 계정 정보를 입력하고 '연결'을 클릭합니다.
내부망 및 외부망 접속 설정 방법
회사 내부에서는 물론, 외부에서도 NAS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설정하면 재택근무나 출장 시에도 파일에 접근할 수 있어 업무 효율성이 크게 향상됩니다.
1. 내부망 접속 설정
- NAS에 고정 IP 주소 할당:
- NAS 관리 인터페이스에서 네트워크 설정으로 이동
- '고정 IP' 옵션 선택
- 사내 네트워크에 맞는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입력
- DNS 서버 설정 (일반적으로 공유기 IP 또는 8.8.8.8, 8.8.4.4 입력)
- 사용자 계정 및 그룹 설정:
- NAS 관리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 및 그룹' 메뉴로 이동
- 부서별 사용자 그룹 생성
- 사용자 계정 생성 및 해당 그룹에 할당
- 공유 폴더 권한 설정:
- '공유 폴더' 메뉴에서 부서별 폴더 생성
- 각 폴더별로 접근 권한 설정 (읽기/쓰기, 읽기 전용 등)
- 그룹 또는 개별 사용자에게 접근 권한 부여
2. 외부망 접속 설정 (인터넷을 통한 원격 접속)
외부에서 NAS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다음 방법들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방법 1: 제조사 제공 원격 접속 서비스 사용
- Synology QuickConnect 또는 QNAP myQNAPcloud 설정:
- NAS 관리 인터페이스에서 해당 서비스를 활성화
- 계정 생성 및 NAS 등록
- 외부에서 웹브라우저나 모바일 앱을 통해 접속 가능
방법 2: DDNS와 포트 포워딩 설정
- DDNS(Dynamic DNS) 서비스 설정:
- NAS의 DDNS 설정 메뉴로 이동
- 무료 DDNS 서비스(예: no-ip.com, duckdns.org) 또는 제조사 제공 서비스 선택
- 도메인 이름 설정 (예: company-nas.ddns.net)
- 공유기/라우터 포트 포워딩 설정:
- 공유기 관리 페이지에 접속
- 포트 포워딩 또는 가상 서버 설정 메뉴로 이동
- 다음 포트를 NAS의 내부 IP로 포워딩:
- HTTP: 80 포트 (또는 사용자 지정)
- HTTPS: 443 포트 (또는 사용자 지정)
- FTP/SFTP: 21/22 포트 (필요시)
방법 3: VPN 서버 설정 (가장 안전한 방법)
- NAS의 VPN 서버 기능 활성화:
- 대부분의 중급 이상 NAS는 VPN 서버 기능 내장
- Synology: 'VPN Server' 패키지 설치
- QNAP: 'QVPN Service' 앱 설치
- VPN 프로토콜 선택 및 설정:
- OpenVPN: 보안성과 호환성 우수
- L2TP/IPsec: 모바일 기기 접속에 편리
- 사용자 계정 및 접근 권한 설정
- VPN용 포트 포워딩 설정:
- OpenVPN: 일반적으로 1194 포트 (UDP)
- L2TP/IPsec: 1701, 500, 4500 포트
- 클라이언트 설정 파일 다운로드 및 배포:
- 직원들에게 VPN 클라이언트 및 설정 파일 제공
- 접속 방법 교육
외부 접속 시 보안 강화 팁
- 2단계 인증(2FA) 설정: NAS 관리자 및 일반 사용자 계정에 2FA를 활성화하여 보안 강화
- SSL 인증서 적용: Let's Encrypt와 같은 무료 SSL 인증서를 발급받아 NAS 웹 인터페이스에 적용
- 자동 IP 차단 기능 활성화: 여러 번 로그인 실패 시 해당 IP를 자동으로 차단하는 기능 설정
- 방화벽 규칙 설정: 필요한 서비스와 IP만 접근 허용하도록 NAS 방화벽 설정
- 정기적 펌웨어 업데이트: 보안 취약점을 패치하기 위해 NAS 펌웨어를 항상 최신 버전으로 유지
NAS 활용 팁: 협업 효율성 높이기
단순한 파일 저장소를 넘어, NAS의 다양한 기능을 활용하면 팀 협업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습니다.
1. 문서 버전 관리 시스템 활용
Synology와 QNAP 모두 파일 버전 관리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를 활성화하면 문서가 변경될 때마다 이전 버전이 자동으로 저장되어 실수로 파일을 덮어쓰거나 삭제하더라도 복구할 수 있습니다.
2. 실시간 협업 도구 설치
대부분의 고급 NAS는 자체 앱스토어를 통해 다양한 협업 도구를 제공합니다:
- Synology Office: 워드, 스프레드시트, 슬라이드 등 문서 실시간 공동 편집
'컴퓨터활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단축키 (1) | 2025.03.30 |
---|---|
블로그용 사진 용량 줄이기 (0) | 2025.03.27 |
가성비 노트북 추천 (2) | 2025.03.12 |
하드디스크 복제 및 마이그레이션 가이드 (4) | 2025.03.03 |
윈도우 설치 오류 해결 (2) | 2025.03.02 |